
안녕하세요.
건설 면허 등록 안내를 위해 굿데이가 오늘도 인사드립니다 :)
오늘은 금속구조물창호온실공사업 면허에 대해 알기 쉽게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금속구조물창호온실공사업 면허는 자본금, 기술능력, 공제조합, 시설장비의 일정 기준을 충족한 후,
해당 지자체의 관청에 면허 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그럼 등록기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금속구조물창호온실공사업 면허 등록 시 1억 5천만 원 이상의 자본금이 있어야 합니다.
자본금은 예금만 가지고 있다고 해서 등록기준에 충족된 것은 아닙니다.
기업진단을 받아 적격한 기업진단보고서를 발급받아 제출해야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진단보고서는 재무제표상 겸업 자산이나 부채 등을 차감한 실제 자본금이 적합함을 보여주는 서류로,
재무관리상태진단보고서라고 부릅니다.
기업진단은 객관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므로 외부 진단기관이나 진단사에게 평가받아야 합니다.
회계사, 세무사, 경영지도사와 같은 전문가가 진단할 수 있으나,
회사와 관계있는 기장 대리 등은 불가합니다.
기업진단에 어려움이 있으시다면 031 213 8300 으로 연락 주세요.
자세한 상담 도와 드리겠습니다.


금속구조물창호온실공사업 면허에는 기술능력 2인이 필요합니다.
「건설기술 진흥법」에 따른 기계ㆍ토목ㆍ건축 분야 초급 이상의 건설기술인
또는
「국가기술 자격법」에 따른 관련 종목의 기술자격취득자 중 2명 이상
기술인은 사대보험에 가입되어있는 상시근로자로, 이중 취업은 할 수 없습니다.
기술자격취득자는 아래의 자격을 갖춰야 합니다.
기술사 | 금속재료, 건축전기설비, 전기응용, 시설원예 |
기능장 | 기계가공, 금형제작, 판금제관, 용접, 금속재료, 전기, 건축일반시공, 건축목재시공 |
기사 | 프레스금형설계, 금속재료, 전기, 전기공사, 시설원예 |
산업기사 | 컴퓨터응용가공, 프레스금형, 기계가공조립, 기중기, 판금제관, 기계설계, 금속재료, 전기, 전기공사, 토목제도, 건축제도, 건축일반시공, 유리시공, 건축목공, 목재창호, 창호제작(금속재), 온수온돌, |
기능사 | 컴퓨터응용선반, 연삭, 컴퓨터응용밀링, 금형, 기계가공조립, 기중기운전, 판금제관, 용접, 특수용접, 전산응용기계제도,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 금속재료시험, 전기, 콘크리트, 전산응용토목제도, 전산응용건축제도, 유리시공, 건축목공, 금속재창호, 플라스틱창호, 온수온돌, 금속도장 |
기능사보 | 선반, 연삭, 밀링, 프레스금형, 다듬질, 일반판금, 타출판금, 제관, 철골구조물, 전기용접, 가스용접, 특수용접, 내선공사, 외선공사, 전기기기, 콘크리트, 유리시공, 건축목공, 목재창호, 금속재창호, 온수온돌, 구들온돌, 금속도장 |
(1인 1 자격만 인정됩니다. )


금속구조물창호온실공사업 면허 취득을 위해 공제조합에 출자 예치해야 합니다.
출자금을 예치하면 보증가능금액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고,
이는 면허 접수 시에 함께 제출하셔야 합니다.
예치금은 조합 신용 평가 결과에 따라 달라집니다.
CC등급 이상은 43좌, C등급 54좌이며 약 4,000만 원~5,000만 원가량 예치하게 됩니다.
신규 법인은 재무제가 없기 때문에 C등급 54좌에 해당하여 약 5,000만 원을 예치하셔야 하겠습니다.
면허를 발급받은 이후에도 예치금은 유지하셔야 하며,
2년 후 일부 대출은 받으실 수 있습니다.
(1좌당 금액은 937,849원이며 2021.04 기준임)


금속구조물창호온실공사업 면허 취득 시 사무실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사무실은 사무 용품과 집기들을 구비하여야 하며,
용도상 근린생활시설과 오피스가 적합합니다.
면적 제한은 없으나 면허를 등록하려는 소재지 내에 위치하게 준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금속구조물창호온실공사업 면허 취득을 위한 등록기준에 대하여 모두 설명드렸습니다.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추가 문의 사항은 아래 번호로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전문건설업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콘크리트공사업 면허 발급을 위한 등록기준 안내 (철콘) (0) | 2021.06.25 |
---|---|
지붕판금건축물조립공사업 면허 핵심 요약 (0) | 2021.06.24 |
비계구조물해체공사업 면허 등록기준 핵심 정리 (0) | 2021.06.22 |
도장공사업 면허 등록기준 쉽게 이해 하기 (0) | 2021.06.21 |
석공사업 면허 발급 쉽게 이해하기 (0) | 2021.06.18 |